📌 목차
01장: 들어가기
02장: 웹 프로그래밍 기초
03장: JSP로 시작하는 웹 프로그래밍
04장: 필수 이해 요소
05장: 기본 객체와 영역
06장: 에러 처리
07장: 페이지 모듈화와 요청 흐름 제어
08장: 자바빈과 액션 태그
✔️ 09장: 클라이언트와의 대화 1 - 쿠키
✔️ 10장: 클라이언트와의 대화 2 - 세션
11장: 표현 언어 (Expression Language)
12장: 표준 태그 라이브러리 (JSTL)
13장: 이클립스를 이용한 웹 개발
✔️ 14장: 데이터베이스 프로그래밍 기초
15장: 웹 어플리케이션의 전형적인 구성과 방명록 구현
16장: 커스텀 태그 만들기
✔️ 17장: 서블릿 기초
18장: MVC 패턴 구현
✔️ 19장: 필터
20장: ServletContextListener 구현
21장: 회원제 게시판 구현 1 - 회원 기능
22장: 회원제 게시판 구현 2 - 게시판 기능
부록 A: MySQL 설치
부록 B: 파일 업로드
어느 정도 웹 경험이 있다면, 이 다섯 챕터만 읽어도 충분하다
전체를 처음부터 읽는 것도 좋지만,
이미 스프링이나 웹 개발을 해본 사람이라면 아래 챕터만 골라 읽어도 충분하다고 생각한다.
- 09장: 쿠키
- 10장: 세션
- 14장: JDBC
- 17장: 서블릿
- 19장: 필터
'쿠키, 세션' 다시 훑기
웹 개발을 조금이라도 해봤다면 쿠키와 세션의 개념은 들어봤을 것이다.
이 책의 9장과 10장은 그런 부분을 다시 정리하기에 아주 적절하다.
쿠키와 세션의 흐름을 “서버 기준으로 어떻게 구분되는가”, “사용자가 처음 접속했는지 여부를 서버는 어떻게 판단하는가”
이런 질문에 대해 실제 코드 흐름과 JSP에서의 동작 방식으로 설명해줘서 다시 개념을 정리하기에 딱 좋았다.
서블릿은 지금도 핵심 기초다
JSP가 다소 레거시처럼 느껴질 수 있지만(난 최근에도 썼지만) 서블릿은 여전히 모든 자바 웹 프레임워크의 기반이다.
스프링도 결국 내부적으로는 DispatcherServlet을 통해 요청을 받아 분기하고 응답을 보낸다.
17장은 `@WebServlet, doGet, HttpServletRequest, HttpServletResponse` 등을
직접 사용해보며 요청 → 처리 → 응답의 전 과정을 순수 자바로 구현해 보는 챕터다.
스프링을 알고 있는 상태에서 이걸 읽으면,"아 이런 걸 스프링이 자동화해 주는 거구나" 하고 느낄 수 있다.
아쉬운 점이 있다면
이미 스프링 같은 프레임워크에 익숙한 사람에게는 너무 레거시라 문법 같은 부분은 오히려 낯설고, 불필요한 내용이 많을 수 있다.
때문에 내가 채우고 싶은 부분만 선택해서 읽으면 좋을 것 같다.
예를 들어 JSP에서 JDBC 코드를 직접 작성하거나, 필터를 xml로 매핑하는 부분은
실무에선 이미 Spring JDBC, JPA, Spring Security 등으로 대체된 방식이라 다소 불편하다.
(하지만 SI라던지 전자정부 또는 레거시 프로젝트를 수행 중이면 추천!)
👀 추천하고 싶은 사람
- JSP/서블릿 기반 웹 구조를 이론이 아니라 코드로 직접 경험해보고 싶은 사람
- 쿠키, 세션, 필터, JDBC 같은 기능이 어떻게 동작하는지 흐름까지 파악하고 싶은 사람
- 스프링의 추상화된 기능을 쓰면서 내부 원리가 궁금했던 사람
'📝 끄적끄적 > 후기 및 회고' 카테고리의 다른 글
'면접을 위한 CS 전공지식 노트'를 읽고 (0) | 2025.07.05 |
---|---|
`2025 스프링 캠프(Spring Camp)`참여 후기 (2) | 2025.06.30 |
'객체지향의 사실과 오해'를 읽고 (0) | 2025.04.08 |
'자바의신1&2(3판)'를 읽고 (0) | 2024.12.07 |
2023년 회고 (0) | 2024.01.03 |
'스프링 입문을 위한 자바 객체 지향의 원리와 이해'를 읽고 (0) | 2023.10.31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