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F-Lab] 16주차 회고
·
📝 끄적끄적/F-Lab
사전 질문괜찮은 스타트업 찾는 법동시성 제어 관련 접근법 질문락 주체가 Udong인 이유 + 객체지향적 관점과 동시성 해결의 충돌…락 트랜잭션 이해했는지 확인받기같은 멤버에 대해서 중복 참여 막는 법 이런 식으로 하면 될는지+멱등키?락 비교 테스트 관련사전 학습이론김영한 님 스프링 핵심 원리 고급 편 섹션 1, 2, 3박우빈 님 테스트 주도 개발 3, 4, 5프로젝트우동 참여 요청에 대한 동시성 제어 마무리 멘토님 질문낙관적 락/비관적 락에서 순서가 깨지는 상황이 언제라고 생각하시나요?동시성 이슈에서 가시성 문제와 원자성 문제Atomic 키워드, CAS 알고리즘SynchronizedList vs CopyOnArrayList ConcurrentHashMap vs HashMapQueue vs Blocking..
[F-Lab] 백엔드(BackEnd) 코스 3개월 솔직후기
·
📝 끄적끄적/F-Lab
3개월 동안 뭘 했을까조금 늦게 작성하는 감이 있지만... 그만큼 프로젝트에 집중하고 있다는 것^^!자세한 내용은 1개월, 2개월 차 후기에 이미 작성했으니까, 이번엔 간단하게 정리해 보자면,한 달 차까지는 자바 이론 공부를 정말 힘들게 했고, 이후부터는 프로젝트 기획부터 구현까지 이론과 병행해서 진행했다. 지금은 프로젝트 핵심 기능을 끝내고, 동시성 관련 이슈들을 해결하고 있는 중이다.거의 마무리 단계인데, 여태 했던 것 중에 제일 어려운 구간인 것 같다.그리고 왜 서비스 기업에서 개발자의 역량을 CS, 기본기에서 본다는 건지 이제야 진짜 체감했다.3개월 동안 쌓아왔던 이론 공부를 전부 다 써먹고 있다.앞에서 제대로 이해하지 못했다면, 동시성 이슈 해결은커녕 아예 접근조차 못했을 거다.설령 어떻게든 해..
[F-Lab] 15주차 회고
·
📝 끄적끄적/F-Lab
사전 질문git rebase&merge구직 제안 관련B2C vs B2B부하 테스트 서버 분리에 따른 CPU, 메모리 설정 추가 질문(k6, 스프링 서버 분리)HTTP Status Code 200 vs 204Repository 내 패키지 분리 사전 학습이론김영한님 JPA 기본편 섹션 8, 9, 10, 11(완강)최상용님 재고시스템으로 알아보는 동시성이슈 해결방법(완강)테스트 주도 개발 1, 2객체지향의 사실과 오해 2장프로젝트동행 모집글 조회 마무리모니터링 및 부하테스트 세팅 마무리 멘토님 질문우동 Service, Repository 레이어 관련도커 네트워크 Host의 단점부하 테스트 관련 질문동시성 관련 질문 느낀 점우동 관련 핵심 기능을 마무리하고, 동시성 제어를 위해 학습해 오라고 하셨다.인프런에 사..
[F-Lab] 14주차 회고
·
📝 끄적끄적/F-Lab
사전 질문DTO vs Domain 유효성 검증Map 자료구조 질문모니터링, 부하테스트 세팅 오류무조건 JPQL  사전 학습이론김영한님 스프링 핵심 원리 기본편 섹션 9, 10(완강)프로젝트동행 모집글 조회 마무리모니터링 및 부하테스트 세팅 마무리 멘토님 질문스프링의 단점스프링 vs 스프링 프레임워크 vs 스프링 부트Spring Boot Actuator란?메트릭이란?Prometheus란?도커 네트워크 관련 느낀 점이번주는 모니터링&부하테스트 세팅까지 PR 2개를 진행하느라 이론을 거의 못했다.ㅠㅠ확실히 CS 스터디까지 같이 하니까 빡세다.2마리 토끼를 놓치지않게 시간 분배를 열심히 해야겠다...😥 예전에 도커 강의 쭉 들을 때 신기하고 재밌었는데, 이번에 활용해볼 수 있어서 좋았다.그때는 도커 관련 이론..
[F-Lab] 13주차 회고
·
📝 끄적끄적/F-Lab
사전 질문메인 기능과 병행할 수 있는 기능이직 관련 질문(6가지)Embedded랑 entity은 값 객체 vs 엔티티와 같은 주제? yes!인프라 일정 사전 학습이력서 1차 수정이론객체지향의 사실과 오해 ~1장김영한님 스프링 핵심 원리 기본편 섹션 6, 7, 8김영한님 JPA 기본편 ~섹션 7프로젝트동행 모집글 생성 진행중 멘토님 질문성능테스트 및 부하테스트 설명스프링의 장점스프링 vs 스프링 프레임워크 vs 스프링 부트 느낀 점멘토링이 총 18주 차인 줄 알고 멘토님과 그에 맞게 진도를 나가고 있었는데, 2024년 7월부터는 17주 차로 바뀌었다고 한다.ㅜㅜ 당황.. 뭔가 쪼들려서 더 조급해졌다.하루차이로 멘토링을 한번 더 못 받는다는 게 시스템적으로 사실 좀 이해가 안 간다. 개발을 계속할수록 약간씩..
[F-Lab] 12주차 회고
·
📝 끄적끄적/F-Lab
사전 질문인강보고 노트정리 여부JPA 테스트 데이터 truncate 사전 학습이론김영한 님 스프링 핵심 원리 기본편 섹션 1, 2, 3, 4, 5 복습프로젝트나의 여행 등록 완료HTTP 클라이언트 변경 완료 멘토님 질문프록시 서버싱글톤 구현 방법들팩토리 메서드 패턴템플릿 콜백 패턴스프링이란? 느낀 점이번 주는 이론을 참말로 못했다.컨트롤러, 서비스, 도메인 레이어의 테스트 코드를 전부 작성하는 건 굉장히 어렵다.특히 테스트 데이터 truncate 하는 과정 중에 계속 낙관적 락이 발생해서 거의 이틀 동안 붙잡고 있었던 것 같다.원인은 아는데 할 수 있는 걸 다 해봐도 안돼서 일단 discussion에 적어놓고 보류하기로 했다.진도가 나가야하니까 ㅠㅠ 이제 한 달 정도밖에 안 남았는데 프로젝트 진도가 너무..