트랜잭션 - ACID 원칙, Problem 3가지
·
👶🏻 CS/Database
트랜잭션(Transaction)이란트랜잭션은 데이터베이스에서 하나의 작업 단위를 의미한다. 예제은행에서의 계좌이체를 생각해 보자. 만약 한 계좌에서 다른 계좌로 1,000원을 이체하는 작업은 다음과 같은 단계로 나눌 수 있다.A 계좌에서 1,000원을 출금한다.B 계좌에 1,000원을 입금한다.계좌이체라는 행위를 출금, 입금이라는 두 작업으로 이루어진다.이 두 작업은 반드시 함께 수행되어 둘 다 성공하거나 둘 다 실패해야 한다. 만약 A 계좌에서 돈이 빠져나갔는데 B 계좌에 입금되지 않는다면, 데이터가 불일치하게 되어 문제가 발생할 것이다.이 과정을 동시에 묶는 방법이 바로 트랜잭션이다. 트랜잭션의 주요 특성 (ACID)트랜잭션은 데이터의 무결성을 보장하기 위해 ACID 특성을 만족해야 한다.ACID는..
Concurrent(동시성) vs Parallel(병렬성)
·
👶🏻 CS/Operating System
CPU와 코어CPU는 컴퓨터의 중심에서 명령어를 메모리에서 가져와 해석하고 실행하는 반도체 유닛이다.하나의 CPU는 여러 개의 코어를 가질 수 있으며, 이러한 코어들은 CPU가 동시에 여러 작업을 효율적으로 수행할 수 있도록 해준다. 컴퓨터 사양을 보면 "4코어 8스레드"라는 표현을 자주 볼 수 있다.4코어란 CPU에 물리적 코어가 4개 있다는 의미다. 각 코어는 독립적으로 작업을 수행할 수 있는 단위다.8스레드란 논리적 코어가 8개라는 의미다. 이는 하이퍼스레딩(Hyper-Threading) 기술 덕분에 하나의 물리적 코어가 동시에 2개의 스레드를 실행할 수 있다는 뜻이다.  하이퍼스레딩 (Hyper-Threading)하이퍼스레딩은 인텔(Intel)에서 개발한 기술로, 물리적 코어 하나가 두 개의 스레..
가상메모리와 페이지 교체 알고리즘
·
👶🏻 CS/Operating System
가상 메모리란메인 메모리의 크기는 한정되어 있기 때문에, 물리적 메모리보다 큰 프로세스는 그대로 실행할 수 없다.그렇다면 이런 경우 프로세스는 어떻게 실행될까?가상 메모리는 실제 물리적 메모리(RAM)보다 더 많은 메모리를 사용할 수 있도록 하는 메모리 관리 기법이다.즉, 가상 메모리는 물리적 메모리와 독립적인 논리적 주소 공간을 제공하여, 실제 메모리 크기와 관계없이 더 큰 주소 공간을 사용할 수 있게 해준다.가상 메모리는 필요한 부분만 메모리에 올림으로써 메모리에 올라가는 프로세스의 크기를 줄이는 요구 페이징 기법을 사용한다. 요구 페이징(Demand Paging)이란가상 메모리는 메모리를 고정된 크기로 나눠서 관리하며 이를 페이지라고 부른다.요구 페이징이란 프로그램이 실행될 때 모든 페이지를 처음부..
프로세스와 스레드
·
👶🏻 CS/Operating System
프로세스와 스레드란?프로그램프로그램은 윈도우의 .exe 파일이나 Mac의 .dmg 파일과 같은 컴퓨터에서 실행할 수 있는 파일을 통칭한다.,단 아직 실행되지 않은 상태의 코드 덩어리를 의미한다. 프로세스프로세스는 실행 중인 프로그램을 말한다, 모든 프로그램은주소 공간, 파일, 메모리 등 자원이 필요한데 운영체제로부터 이 자원을 할당받은 프로그램을 의미한다. 스레드스레드는 프로세스 내에서 동시에 진행되는 흐름의 단위이다. 과거에는 프로그램을 실행할 때 하나의 프로세스만 사용했다.예를 들어, 파일을 다운로드하면 다운로드가 끝날 때까지 다른 작업을 수행할 수 없었다.기술이 발전하며 프로그램이 점점 더 복잡해지면서 단일 프로세스로는 한계가 있었고, 여러 프로세스를 사용하면 메모리를 낭비하고 CPU 자원을 중복..
String Constant Pool, feat. Runtime Constant Pool
·
💻 Dev/Java & OOP
String str = "hello";String str2 = "hello";System.out.println(str == str2); // true위 코드에서 str == str2의 결과는 뭘까?동등성과 동일성을 배웠다면 false로 예상했겠지만 결과는 true다. "어라 자바에서 객체는 ==이 아니라 .equals()로 비교해야 문자열 비교가 되는 거 아니었나?"그 이유는 JVM이 String Pool을 사용하기 때문이다. String Constant Pool이란?우선 Contant Pool이란 클래스 내에 사용되는 상수들을 담아놓은공간이다.클래스 파일(.class)안에 테이블 형태로 들어가 있다. 이 Constant Pool에서 문자열 리터럴만을 별도로 관리하는 공간이 String Pool(Stri..
임계 구역(Critical Section)과 뮤텍스, 세마포어, 모니터
·
👶🏻 CS/Operating System
경쟁 상태여러 프로세스들이 동시에 데이터에 접근하는 상황에서, 어떤 순서로 접근하냐에 따라 결과 값이 달라지는 것을 경쟁 상태(Race Condition)이라고 한다. 이러한 문제를 방지하기 위해 동기화 기법이 사용되며, 이때 공유 자원에 접근하는 코드가 임계 구역(Critical Section)이다.   Critical Section Problem(임계 구역 문제)임계 구역은 하나의 프로세스나 스레드만 들어갈 수 있는 코드 영역이다.예를 들어, 여러 스레드가 같은 메모리 영역에 값을 쓰려고 하면 충돌이 발생할 수 있는데, 이때 각 스레드가 동시에 해당 메모리 영역을 쓰지 않도록 보호해야 한다. 이러한 설계를 위해서는 3가지 요구조건을 만족해야 한다. 1. Mutual Exclusion(상호 배제)하나의..