깨끗한 코드는 ‘보기에 즐거운’ 코드다.
책의 서두에서 핵심이 나온 거 아닐까, 어렵게 접근하지 않기로 했다.
신입이 실무 프로젝트에 투입됐을 때 제일 먼저 하는 것은 코드를 보며 업무 프로세스를 파악하는 것이다.
이때 주석이 없어도 책처럼 읽을 수 있어야 한다. (일부의 주석은 필요하겠지만)
철저한 오류 처리
세세한 사항까지 꼼꼼하게 신경 쓰라는 말이다.
프로그래머들이 대충 넘어가는 부분 중 하나가 오류 처리다.
가독성
깨끗한 코드는 잘 쓴 문장처럼 읽혀야 한다.
다른 사람이 고치기 쉽다.
TDD
테스트 케이스가 없는 코드는 깨끗한 코드가 아니다.
아무리 코드가 우아해도,
아무리 가독성이 높아도,
테스트 케이스가 없으면 깨끗하지 않다.
중복
같은 작업을 여러 차례 반복한다면 코드가 아이디어를 제대로 표현하지 못한다는 증거다.
- 객체가 여러 기능을 수행한다면 여러 객체로 나눈다.
- 메서드가 여러 기능을 수행한다면 메서드 추출 리팩터링 기법을 적용해 기능을 명확히 기술하는 메서드 하나와 기능을 실제로 수행하는 메서드 여러 개로 나눈다.
- 추상 메서드, 추상 클래스를 사용한다.
정리
- 중복 줄이기
- 표현력 높이기
- 초반부터 간단한 추상화 고려하기
'📝 끄적끄적 > 📖 Clean Code' 카테고리의 다른 글
3. 함수 (0) | 2023.10.29 |
---|---|
2. 의미 있는 이름 (0) | 2023.10.18 |